수족구는 손과 발에 물집이 생기는 피부 질환입니다. 주로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거나, 콕사키 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족구는 통증이나 가려움증을 일으키고, 입안에 궤양이 생기는 경우에는 식욕 부진이나 탈수가 올 수 있습니다.
대부분 자연 치유되지만, 합병증이 발생할 수도 있는 질병입니다.
목차
1. 수족구란?
2. 수족구 원인
3. 수족구 증상
4. 수족구 치료법
5. 수족구 예방
1. 수족구란?
수족구는 영유아뿐만 아니라 어른도 걸릴 수 있는 바이러스 감염병으로, 손과 발, 입에 수포성 발진이 나타나는 증상이 특징입니다.
주로 10세 미만의 어린이들에게 흔하게 발생하며, 여름부터 가을에 유행합니다. 장바이러스라고 하는 균으로부터 발생하는데 이 중 콕사키바이러스 A16형이 가장 흔하고, 장바이러스 71형은 신경계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수족구는 환자의 대변이나 호흡기 분비물에 묻은 물건이나 손을 통해 입으로 들어가면 감염됩니다. 감염된 후 3-10일의 잠복기를 거치고, 열이나 피곤감이 나타나며 입 안에 궤양이 생기기 때문에 통증이 동반되고, 먹는 양이 급격히 줄어 탈수가 생길 수 있습니다.
2. 수족구 원인
수족구병의 원인은 주로 콕사키 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생기는 바이러스성 질환입니다. 이 바이러스들은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이나 수포의 진물, 분변 등을 통해 비말 감염되거나 경구 감염됩니다.
수족구병은 4세 이하의 소아에게 흔하게 발생하며, 특히 엔테로바이러스 71은 뇌수막염이나 뇌염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3. 수족구 증상
- 열
- 대부분의 환자가 38도 이상의 고열을 겪습니다.
- 열은 1~2일 정도 지속됩니다.
- 구강 궤양
- 입안에 통증이 있는 물집이 생깁니다.
- 주로 연구개, 혀, 잇몸, 입술 등에 나타납니다.
- 물집은 4~8mm 정도의 크기이며, 흰색이나 회색의 가운데에 붉은 테두리가 있습니다.
- 물집은 7~10일 안에 사라집니다.
- 발진
- 손과 발에 붉은색의 납작한 반점이나 물집이 생깁니다.
- 통증이나 가려움증은 거의 없습니다.
- 발진은 보통 3~7일 안에 사라집니다.
수족구병은 대부분 자연 치유되지만, 드물게 뇌수막염이나 뇌염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만약 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응급실에 가야 합니다
- 구토
- 구토, 심한 두통, 의식 저하
- 호흡 곤란, 가슴 통증, 심장 박동이 빠르거나 느린 경우 근육 떨림, 마비, 경련
수족구는 대부분 가벼운 증상으로 자연 치유되지만, 간혹 뇌수막염, 뇌염, 심근염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4. 수족구 치료법
수족구의 치료는 증상을 완화하고 해열하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 수족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손 씻기나 바이러스가 묻었을 가능성이 있는 생활 도구를 열심히 닦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환자와의 접촉을 최대한 피하는 것도 좋습니다.
수족구병은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으로, 특별한 치료 방법은 없습니다. 대부분의 증상은 3~7일 이내에 사라지며, 시간이 지나면 자연히 호전됩니다.
증상이 심한 급성기에는 입안의 통증 때문에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지 못하여 탈수가 올 수 있고, 심하면 쇼크나 탈진 현상이 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아파해도 물을 조금씩 자주 먹여야 합니다. 또한,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해열제나 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수족구병은 감염되기 쉬운 질환이므로, 손 씻기와 기침 예절 등을 잘 지켜서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수족구 예방
수족구병에 대한 예방 백신은 현재까지 개발되지 않아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족구병은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므로, 특별한 치료 방법도 없습니다.
- 수족구병을 예방하기
- 손 씻기와 기침 예절 등을 잘 지켜서 감염을 방지합니다.
- 환자와의 접촉을 최대한 피하고, 접촉 후에는 손을 깨끗이 씻습니다.
-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이나 수포의 진물, 분변 등을 통해 감염될 수 있으므로, 청결을 유지합니다.
- 의심 증상이 있으면 즉시 의사와 상담하고, 치료 기간 동안에는 자가 격리합니다.
이상으로 수족구의 치료법과 원인 및 예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끝.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목터널증후군의 원인과 증상, 치료 및 자가진단법 (4) | 2023.12.19 |
---|---|
지간신경종, 발가락 통증이 주범? 증상과 치료법 알아보기 (2) | 2023.12.18 |
무지외반증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예방법 (0) | 2023.12.16 |
심혈관 질환 증상과 원인! 겨울에 특히 조심해야 하는 질환 (0) | 2023.12.15 |
활성산소, 우리 몸의 적? 활성산소의 위험성과 제거법 (0) | 2023.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