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21대 왕 영조, 탕평책과 균역법 조선의 안정과 발전을 이끌다
♥♡
↘↘
조선 제21대 왕 영조(재위 1724-1776)는 1694년 숙종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숙빈 최 씨입니다. 1721년 경종에게 후사가 없어 왕세제에 책봉되었고 1724년 즉위하였습니다.
노론과 소론의 대립이 극심했던 상황에서 붕당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 탕평책을 실시하였고, 균역법을 시행하여 농민의 군포 부담을 줄여주었습니다.
또한, 형벌제도를 개선하고 신문고를 부활시켜 백성들의 억울함을 해소하려 조력하였으며, "동국문헌비고", "속오례의", "속대전" 등을 편찬하여 문물제도를 정비하였습니다.
그러나 붕당 정치의 폐단으로 즉위 초에는 경종 독살설에 휘말려 옥사가 일어났고 1762년에는 왕세자(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두어 죽이는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영조는 조선 역대 국왕 중 가장 오래 재위하였고 가장 오래 살았습니다.
♥♡
↘↘
주요 업적
영조는 52년 동안 재위하면서 다양한 분야에 걸쳐 많은 업적을 남겼습니다.
1. 탕평책 실시
- 영조는 즉위 초부터 노론과 소론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탕평책을 실시했습니다. 탕평책은 당파 간의 세력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실시한 정책으로, 이를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 정치적 안정을 도모했습니다.
2. 균역법 실시
- 농민들의 군포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균역법을 실시했습니다. 균역법은 농민들이 내야 하는 군포를 1년에 2 필에서 1 필로 줄이는 것을 골자로 농민들의 삶이 다소 개선되었습니다.
3. 형벌제도 개선
- 형벌제도를 개선하여 인권을 보호하고, 공정한 재판을 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4. 문화 발전
- 문화와 예술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학문과 문화의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5. 국방력 강화
- 국방력을 강화하기 위해 군사 훈련을 강화하고 무기를 개량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6. 경제발전
- 농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토지 개량 사업을 추진하고 상업을 장려하여 경제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 홍수 예방과 도시 정비를 위해 청계천을 준설했습니다.
♥♡
↘↘
주요 사건들...
- 경종 독살설 - 영조는 경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는데, 이 과정에서 경종이 독살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습니다. 이는 영조의 정통성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이후 노론과 소론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 노론과 소론의 대립 - 영조의 즉위 이후 노론과 소론은 서로 대립하며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여 영조는 탕평책을 실시 이들의 갈등을 해소하려 했으나, 쉽지는 않았습니다.
- 사도세자의 죽음 - 영조와 사도세자 사이의 갈등이 심화되어, 사도세자는 영조의 명령으로 뒤주에 갇혀 사망하는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이 사건은 조선 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사건이었으며 영조의 가장 큰 오점으로 남기도 했습니다.
이상으로 탕평책과 균역법으로 조선의 안정과 발전을 이끈 영조에 대해서 요약 정리해 보았습니다.
♥♡
↘↘
함께 읽어보세요 ↘↘
[조선왕조실록] - 조선 제20대 왕 경종의 생애와 업적
조선 제20대 왕 경종의 생애와 업적
조선 제20대 왕 경종의 생애와 업적♥♡↘↘ 조선 제20대 왕 경종(景宗, 1688~1724, 재위 1720~1724)은 숙종과 희빈 장 씨 사이의 아들이자 영조의 형으로 1688년(숙종 14) 10월 28일 창경궁 취선선당에
goodmyhome.tistory.com
[조선왕조실록] - 조선 19대 왕 숙종, 환국정치 대동법 상평통보 백두산정계비
조선 19대 왕 숙종, 환국정치 대동법 상평통보 백두산정계비
조선 19대 왕 숙종, 환국정치 대동법 상평통보 백두산정계비♥♡↘↘ 조선 제19대 왕 숙종(1661~1720, 재위 1674~1720)은 현종과 명성왕후 김 씨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어릴 때부터 총명하고 학문에
goodmyhome.tistory.com
♥♡
↘↘
끝.
'조선왕조실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제23대 순조대왕의 업적과 주요 사건 (2) | 2024.12.19 |
---|---|
조선 제22대 정조 왕, 조선의 개혁 군주로 평가 (0) | 2024.12.01 |
조선 제20대 왕 경종의 생애와 업적 (1) | 2024.11.26 |
조선 19대 왕 숙종, 환국정치 대동법 상평통보 백두산정계비 (1) | 2024.11.25 |
조선 제18대 현종 왕, 예송논쟁과 경신환국 (2) | 2024.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