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왕조실록

조선 제18대 현종 왕, 예송논쟁과 경신환국

by 환영해유 2024. 11. 24.

조선 제18대 현종 왕, 예송논쟁과 경신환국

♥♡

↘↘

 

현종(顯宗, 1641년 3월 14일 ~ 1674년 8월 18일)은 조선의 제18대 왕입니다. 효종의 외아들이며, 숙종의 아버지이자 경종과 영조의 할아버지로 효종이 봉림대군이던 시절 심양에 인질로 있을 때 태어났습니다. 조선 역대 임금 중 유일하게 외국에서 태어난 임금이기도 합니다.

 

 

조선 제18대 현종 왕, 예송논쟁과 경신환국

 

 

현종은 아버지 효종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1659년에 왕위에 올랐습니다. 아버지 효종이 북벌을 계획했으나 이를 완성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습니다. 현종은 이러한 정책을 이어가려고 했으나 여러 내부 문제와 외부의 압박으로 북벌은 실행되지 못했습니다.

 

현종의 재위 기간 동안 서인과 남인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 경신환국(1680)과 같은 사건이 발생하면서 정치적 불안정이 계속되었습니다.

 

이러한 갈등은 효종 시기부터 계속된 붕당 정치의 연장선이었습니다. 현종은 재위 기간 동안 예송 논쟁에 휘말렸습니다. 예송 논쟁은 왕실의 장례 절차와 관련하여 발생한 논쟁으로, 유교적 가치관과 관련된 문제였습니다.

 

이 논쟁은 당시 사회의 정치적, 문화적, 사상적 측면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현종은 1674년 8월 18일에 사망하였으며, 그의 무덤은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숭릉(崇陵)입니다.

 

♥♡

↘↘

 

주요 업적

▶ 예송논쟁 해결 - 현종은 즉위하자마자 예송논쟁에 휘말렸습니다. 예송논쟁은 인조의 계비인 자의대비가 효종과 효종비의 상을 당했을 때 어떤 상복을 입어야 하는지를 놓고 벌어진 논쟁으로, 서인과 남인간의 정치적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

 

현종은 1669년 기년설(1년)을 채택하여 남인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 경제 발전 - 농업 생산력을 높이기 위해 양전 사업을 실시하고, 저수지를 수리하고 개간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또한, 상평통보를 발행하여 화폐 유통을 촉진하였습니다.

 

▶ 국방 강화 - 현종은 국방 강화에도 힘썼습니다. 훈련별대와 정초청을 통합하여 금군의 병력을 증강시키고, 표류해 온 네덜란드인 하멜을 훈련도감에 수용하여 신무기를 개발하도록 하였습니다.

 

▶ 문화 발전 - 현종은 문화 발전에도 기여하였으며, <동국여지승람>을 증보 간행하고, <동성교여 집>, <농가집성>, <신전자초방> 등의 서적을 간행하였습니다. 천문 관측 기구인 혼천의를 제작하고, <선원록>을 정비하였습니다.

 

▶ 사회 안정 - 현종은 사회 안정에도 노력하였습니다. 호남 지방에 대동법을 실시하고, 전세를 1 결당 4두로 고정시키는 등의 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 또, 노비의 지위를 개선하기 위해 노비안검법을 실시하고, 소의 도살을 금지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

↘↘

 

주요 사건들

▶ 예송 논쟁

 

  • 효종 사망 후 인조의 계비 자의 대비의 복상 기간을 두고 서인과 남인 간에 발생한 전례 문제입니다.
  • 1차 예송(1659)은 효종이 죽자 자의대비가 상복을 3년 입을지 1년 입을지를 두고 벌어졌습니다. 서인은 1년을, 남인은 3년을 주장하였는 데 현종은 서인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 2차 예송(1674)은 효종비가 죽자 자의대비가 상복을 9개월 입을지 1년 입을지를 두고 벌어졌습니다. 이번에는 남인이 주장한 1년이 받아들여져 남인이 우세해졌습니다.

 

▶ 경신환국

 

  • 1680년 남인이 대거 축출되고 서인이 정권을 잡은 사건입니다. 숙종은 남인의 영수 허적이 왕실의 재물을 횡령했다는 이유로 남인을 몰아내고 서인을 중용하였습니다. 이로써 남인은 크게 위축되었고 서인은 노론과 소론으로 나뉘어 주로 노론이 정치를 주도하게 되었습니다.

 

마치며

 

 

현종은 조선의 역사상 가장 평화로운 시기를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그는 아버지 효종이 이루지 못한 북벌 정책을 이어가려 하였으나 내부 문제와 외부 압박으로 인해 실행하지 못하였습니다. 하지만 예송논쟁을 해결하고 경제, 국방, 문화,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아버지 효종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19세의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지만, 15년간의 재위 기간 동안 조선을 안정적으로 다스리며 많은 업적을 남겼습니다.

 

 

이상으로 조선 제18대 현종 왕, 예송논쟁과 경신환국에 대해서 요약 정리해 보았습니다.

 

♥♡

↘↘

 

함께 보시면 도움이 되는 글 ↘↘

 

[조선왕조실록] - 조선 제17대 왕 효종의 생애와 업적 반청과 북벌의 꿈

 

조선 제17대 왕 효종의 생애와 업적 반청과 북벌의 꿈

조선 제17대 왕 효종의 생애와 업적 반청(反淸)과 북벌의 꿈♡♥↘↘  조선 제17대 왕 효종(孝宗, 1619~1659, 재위 1649~1659)은 인조의 둘째 아들이자, 소현세자의 동생으로 청나라에서의 8년간 볼모

goodmyhome.tistory.com

[조선왕조실록] - 조선 제16대 왕 인조,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인조 시대의 외침과 그 영향

 

조선 제16대 왕 인조,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인조 시대의 외침과 그 영향

조선 제16대 왕 인조,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인조 시대의 외침과 그 영향♡♥↘↘ 조선 제16대 왕인 인조(仁祖, 1595~1649, 재위 1623~1649)는 광해군의 중립외교 정책과 폭정에 반발하여 일어난 인조반

goodmyhome.tistory.com

 

♥♡

↘↘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