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정보

14세 이상 청소년 장애인 교통카드 기능 담은 장애인등록증으로 지하철 이용

by 환영해유 2025. 2. 12.

14세 이상 청소년 장애인 교통카드 기능 담은 장애인 등록증으로 지하철 이용

↘↘

 

장애인도 지하철을 자유롭게!라는 외침이 더 이상 낯설게 들리지 않는 사회가 온 것 같습니다. 2025년 1월부터 14세 이상 청소년 장애인도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장애인등록증을 발급받아 지하철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장애인 이동권 보장과 사회 참여 확대를 위한 의미 있는 발걸음입니다. 이 시간에는 청소년 장애인 교통카드 기능을 담은 장애인 등록증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출처-보건복지부

 

 

 

지하철 이용, 더 이상 불편하지 않아요

 

 

과거에는 19세 이상의 장애인에게만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장애인등록증 발급이 가능했는데 이로 인해 미성년 장애인은 지하철을 이용할 때마다 1회용 무임승차권을 발권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죠.

 

하지만 이제는 14세 이상의 청소년 장애인도 '직불카드형 장애인등록증'을 신청하면 지하철 무임 결제(요금 면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버스 이용도 편리하게

 

 

'직불카드형 장애인등록증'은 지하철뿐만 아니라 버스 이용 시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버스 이용 시에는 청소년 요금이 자동으로 결제되어 더욱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 등록증 사용자도 확인하세요

 

만약 청소년 장애인이 현재 직불카드형 장애인등록증을 가지고 있다면, 카드에 유효기간을 확인해야 합니다.

 

유효기간이 2029년 9월 이전인 경우에는 직불카드형 장애인등록증을 새로 발급받아야 하며, 2029년 10월 이후인 경우에는 재발급 없이 바로 지하철 무임 결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동해선에서도 무임 결제 기능

 

최근에는 장애인등록증에 부가된 교통카드 사용 구간이 확대되었습니다.

 

과거에는 울산-부산 간 광역전철인 동해선 구간에서 장애인등록증으로 일반 요금이 결제되어 장애인이 불편을 겪었으나, 2024년 11월 27일부터 동해선 구간에서도 장애인등록증으로 무임 결제가 가능해졌습니다.

 

 

모바일 장애인등록증 시대 개막

 

보건복지부는 장애인등록증의 편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모바일 장애인등록증 발급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2025년 12월 일부 지역에서 시범 발급을 시작하여 2026년 초에는 모든 지역에서 전면 발급할 예정입니다.

 

모바일 장애인등록증은 기존 장애인등록증의 분실 위험을 줄이고,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마무리하면서...

 

 

이번 조치는 장애인 이동권 보장과 사회 참여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으로도 장애인등록증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모바일 장애인등록증 발급을 통해 장애인의 삶의 질을 더욱 향상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참고]

'장애인등록증'과 '장애인복지카드'

장애인등록증은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발급되는 공식 명칭으로, 실제 발급 시에는 복지카드로 표기되어 두 명칭을 동일하게 사용됩니다.

장애인등록증은 크게 신분증형과 금융카드형으로 나뉘며, 금융카드형은 또 신용카드형과 직불카드형으로 구분됩니다.

 


△신분증형 장애인등록증

  • 주민등록번호와 주소가 기재되어 있어 신분증 대용으로 사용 가능
  •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처럼 본인 확인 용도로 활용

△금융카드형 장애인등록증 

  •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 기능이 추가된 장애인등록증
  • 주민등록번호 뒷자리와 주소가 표기되지 않아 신분증 대용으로 사용 불가
  • 장애인 등록 여부 확인에 활용

△직불카드형 장애인등록증

  • 직불카드 기능이 포함된 장애인등록증으로, 14세 이상이면 발급 가능
  • 신용등급이 낮은 장애인도 신청 가능

△신용카드형 장애인등록증

  • 신용카드 기능이 추가된 장애인등록증으로, 19세 이상 장애인만 발급 가능
  • 일반 신용카드와 동일하게 신용 심사를 거쳐야 함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장애인등록증

  • 지하철 무임승차 및 버스 유임 요금을 자동 결제할 수 있는 기능 포함
  • 모든 금융카드형 장애인등록증(신용/직불 포함)에 교통카드 기능 기본 적용

 

장애인등록증

 

 

▷모든 금융카드형 장애인등록증에는 교통카드 기능이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신분증형 장애인등록증은 신분증 대용으로 사용 가능하지만, 금융 기능은 없습니다.

▷금융카드형 장애인등록증은 신분증 대용으로 사용할 수 없지만, 금융 및 교통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14세 이상 청소년 장애인 교통카드 기능 담은 장애인 등록증으로 지하철 이용에 대해서 정리해 드렸습니다.

 

[경제정보] - 2025년 더욱 든든해진 출산 양육 지원으로 행복한 가정 만드세요

 

2025년 더욱 든든해진 출산 양육 지원으로 행복한 가정 만드세요

2025년 더욱 든든해진 출산 양육 지원으로 행복한 가정 만드세요↘↘ "아이가 웃는 소리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음익"이라고 하죠. 하지만 현실은 아이를 키우는 데 예상치 못한 어려움과 마

goodmyhome.tistory.com

 

 

↘↘

 

 

 

 

 

끝.